산행(여행)

제천 신선봉

Amazing HYUNG 2025. 6. 14. 21:38

 산행일자 : 2007년 02월 11일

 교통편 : 자가용

 산행코스 : 학현아름마을팬션  ~ 미인봉 갈림길 ~ 신선봉 ~ 900봉(899.1봉, 단백봉) ~

                 동금대 ~ 상학현  ~ 원점회귀

 산행거리 : 약 11km

 산행시간 : 4시간 

 

 

[ 산 행 지 도 ]

▲ 상기 지도는 북쪽이 아닌 남쪽 방향 지도로

미인봉 들머리에서 시작하여 신선봉을 지나

상학현으로 하산한 루트를 표기한 것임

 

 

▲ 900봉 표식 및 단백봉 표지석이 있는 899.1봉을 지나

용바봉으로 가는중 동금대 방향으로 하산하는 루트를 표기하고 있어

나의 하산 루트를 확인할 수 있는 지도

 

 

▲ 단백봉에서 동금대 방향으로 하산로 미표기

 

 

▲ 단백봉을 지나 용바위봉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미표기

유일하게 저승골을 표기하는 지도

상학현에서 동금대로 이어지는

세개의 코스를 표기하는 유일한 지도

 

 

월간산 지도에서 발췌한 지도

학바위가 말바위와 물개바위 사이에 있음을 알려준다

 

 

미인봉 코스에서 '콩나물바위'를 유일하게 표기하는 지도

 

 

▲ 아직도 정확한 출처를 모르는

시간과 거리를 표기하는 최고의 등산지도

상기 두개는 모두 동일 제작자에 의한 지도지만

아래 지도가 나중에 그려진 것으로 거리 표기가 수정된 것임.

 

 

지도를 보면 미인봉을 저승으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미인봉의 예전 이름은 저승봉 이었다
이 봉우리를 오르내리는 험한 협곡의 이름이 ‘저승골’이어서 

마을 사람들이 ‘저승봉’이라 불렀다는 설과

 멧돼지가 많이 살아 멧돼지가 오르내리는 산이라고 하여 

돼지 저(猪), 오를 승(昇)의 저승봉(猪昇峰)이라 불렀다는 설이 있다. 

 

저승봉이라는 어감이 좋지 않아 

미인봉으로 명칭을 바꾼 것이라고 한다.

 

조가리봉 명칭은

조가리봉 명칭은
아침 조(朝)에 볏집을 말하는 가리와 합쳐

 멀리서 보면 “쌓아놓은 볏단”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설악산 가리봉과 비슷한 의미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이전에는 명칭 표기가 없었으나

2000년대부터 까리봉으로 표기한다.

 

 

 

[ 산 행 기 ]

산행기 시작에 앞서

조가리봉~미인봉~학봉~신선봉으로 오르는

532번 지방도로 주변 들머리 확인한다

 

조가리봉 들머리인 별가람팬션 주변 들머리 확인

별가람팬션은 좌측에 있고

맞은편에 등산관련 표식은 없지만

임산물채취금지라는 현수막이 있어

그곳이 등산로 입구임을 알 수 있다

 

>> 이곳이 산악마라톤 코스 시작지점

 

이곳에서 시작하여

조가리봉~학봉~신선봉~단백봉~용바위봉을 지나

갑오고개에서 다시 치고 올라가

동산~작은동산~외솔봉을 지나

이곳까지 이어지는 무려 35km 코스라고 한다

금수산악마라톤은 코로나 발병이후 3년동안 중지되었으나

다시 시작하여2024년 8월까지 했으며

2025년도에도 행사가 진행된다고 한다.(8/24 예정)

 

다만 당초 코스와 달리

금수산 산악마라톤대회는 11km, 22km 두개의 코스로 구분된다.

 

 

지금은 산악마라톤 표식이 보이지 않고

조가리봉 이정표만 보인다.

 

 

하학현버스정류장에 있는 들머리 확인

이곳은 조가리봉과 미인봉 사이로 이어지는 등산로 입구

역시 이곳도 등산관련 표식은 없지만

임산물채취금지 현수막이 등산로 입구임을 알려준다

 

 

미인봉 방향 들머리 확인

이곳은 송이네팬션 맞은편으로

등산안내도가 있어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곳으로 진입하면 미인봉으로 이어진다.

 

 

본인이 진입했던

학현아름마을펜션 주변 들머리 확인

등산안내도는 없지만 이정표가 있다

이곳으로 진입하면

미인봉과 학봉사이로 이어지는 첫번째 갈림길로로 이어진다

하지만 본인의 경험상 이곳으로 오를 이유가 없다

왜냐하면 미인봉은 왕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궂이 이곳으로 진입하는 것보다

송이네팬션 주변에서 진입해야 미인봉을 탐방할 수 있다

 

 

다음은 물개바위 및 못난이바위를 경유하는

학바위골 코스 들머리 알아본다

학바위골 코스도 등산관련 표식이 없다.

물개바위와 못난이바위를 보기 위하여

학바위골 코스를 선택하는 산객들은 그리 많지 않지만

 

 

이 코스로 올라갈 경우 볼 수 있는 기암석은 다양하다

학바위

말바위, 물개바위,

강아지바위, 못난이바위

 

▲ 학바위골의 또다른 묘미 슬랩지대

< 타 블로그 사진 발췌 >

 

 

다음은 학봉으로 이어지는

학현야영장 주변 들머리 확인한다

이곳은 학현야영장 버스정류장 주변 들머리

등산안내도 및 이정표가 보이는 곳이며

학봉까지 1.7km거리며

학바위골 코스에 비해 단조로운 코스로 알려진다

 

 

본인이 하산했던 상학현을 알아본다

이곳으로 진입하면 신선봉으로 이어지며

동금대를 경유하게 된다.

 

동금대란 일제 강점기 지도에도 표기되는 지명이며

동금대(東金垈)【마을】→ 학현 동쪽에 있는 마을. 

처음에 김씨가 살기 시작하였다 함.

 

 

이제 본인이 진입했던 당시 이름이 학현아름마을민박

지금은 학현아름마을팬션이 있는 곳에서

시작하는 산행기를 올린다

 

08:35

학현아름마을민박식당 앞에 도달

>> 동쪽에서 바라본 모습

 

 

학현아름마을팬션 동측에 있는 버스정류장

바로 이곳에 나의 애마도 주차를 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학현아름마을팬션 및 들머리 전경

>> 서측에서 바라본 전경

 

 

08:36

학현아름마을민박집(학현아름마을팬션) 건너편 들머리

우측 사진은 카카오맵에서 2024년 9월 촬영한 모습

>> 17년이 지났어도 동일한 들머리 표식

 

 

08:55

20분 올라가서 보이는 미인봉

저승봉으로 불리우다 미인봉으로 변경한 곳

우측 암벽이 저승봉암장

 

 

참고로 저승봉암장은 이런 곳입니다.

< 타 블로그 사진 발췌 >

 

 

반대편으로 시선을 돌리면 보이는

중봉~동산

동산 앞에 보이는 봉우리는

북쪽으로 중고개(모래고개)가 지나는 543.8봉임

>> 현재 금수산마라톤 코스는 543.8봉 북쪽 중고개를 지난다

 

 

하학현은 보이지 않고

학현리 일대 및

맨 우측 상학현마을 그리고 우측 고개가 갑오고개

 

 

학바위로 착각한 기암석

>> 학바위는 학바위골 코스에 있다

 

 

09:20

암릉지대에서

동산 서능선에 있는 성봉을 배경으로 남긴 나의 모습

 

 

09:27

가야할 학봉 방향

학봉으로 가는중 손바닥바위 및 킹콩바위가 있다

이 사진 맨 우측이 손바닥바위로 보인다.

하지만 어디가 킹콩바위인지는 확인이 어렵

 

 

09:33

손바닥바위

>> 코끼리위로도 불리운다

 

 

손바닥바위에서 본 학봉

 

 

인면암처럼 보이는 거대한 기암절벽

>> 킹콩바위는 아님

 

 

09:48

당시 손바닥바위로 착각했던 기암석

 

킹콩바위 보지 못하고

 

 

손바닥바위를 지나 학봉으로 가면서 보이는 

당시 보지 못했던 일명 오작교바위

<타 블로그에서 발췌>

>> 이곳 오작교바위는 정식 명칭은 아니며

정식 명칭으로 오작교바위는

괴산군 연풍면 시루봉 자락에 있다

 

 

09:54~09:57

학봉 주변 소나무

 

 

10:02

학봉오르는 암벽길

지금은 이곳에 철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 타 블로그에서 발췌 >

철계단을 오르면 바로 전망대가 나오며

그곳이 학봉 주변이다

하지만 학봉에는 별다른 표식이 없다.

 

 

10:25

신선봉 꼭대기에 도달

학봉은 표식이 없어 그냥 지나침

 

 

신선봉에서 남긴 나의 모습

머리도 검고 풋풋한 모습이 정겹다 ㅋㅋ

 

 

10:47

단백봉(900봉)에 도달

`25년 현재도 900봉 표식이 있고

이곳은 금수산 방향 분기봉

국토지리정보원 기준 899.1봉임

 

이곳은 삼지봉이라 함은

단양군 적성면, 제천시 수산면, 제천시 청풍면

세개의 지역 경계에 있기 때문이다

>> 현재 이곳에는 단백봉 표지석이 있다

 

 

900봉 또는 삼지봉이라 불리우는

단백봉(899.1봉)에서 남긴 모습

 

 

단백봉에서 보이는 금수산

단백봉에서 금수산까지 2.7km

 

 

11:45

하산하면서 뒤돌아본 상학현 하산길

이미 동금대삼거리는 지났다

 

 

동금대 삼거리를 지나서 임도가 이어진다

 

 

하산하면서 보이는 운지버섯

 

 

12:04

상학현 등산로 입구에 도달

당시에는 아무런 표식이 없지만

지금은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다

 

 

12:13

상학현 날머리에서 약 0.7km 지점에 보이는 노상주차장

작은 화장실도 보인다

이곳의 현재 모습이 궁금해서

카카오맵에서 2024년 촬영한 사진 확인한다

현재도 노상주차장이 있으며

당시 없었던 들꽃교회 건물이 보인다

>> 이곳은 학현2교에서 약 100m 거리

 

 

12:14

학현2교 주변 보호수 소나무

안내문을 보니 학현계곡은 휴식년제 적용 대상

하지만 지금은 자유롭게 출입이 되는 곳

학현계곡은 이런 곳입니다

< 타 블로그 발췌 >

 

 

12:20

학현야영장 주변에 있는

금수산 전국 산악 마라톤 대회 코스 안내도

>> 당시만 해도 35km 코스가 있었지만

 

 

현재는 이런 코스로 대회가 열린다

>> 동산~중봉을 경유하는 산악마라톤 코스는 없어짐

 

 

학현야영장 주변에 있는 신선봉 등산 안내도

너무 어설픈 그림이라 도움이 안된다.

 

이로써 17년전 올랐던 제천 신선봉 산행기 마감합니다

당시 너무 부실하고 미인봉 조가리봉도 오르지 않아

조만간 조가리봉~용바위봉 종주 코스로 거닐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