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방일자 : `10. 05. 16
♥ 교통편 : 자가용
♥ 탐방코스 : 봉우교 ~ 막골 ~ 선바위산 ~ 소원바위 ~ 반쟁이골
♥ 탐방거리 : 6.9km
♥ 탐방시간 : 4시간
[ 등산지도 ]
국토지리정보원에는 선바위산을 어떻게 표기하는지 알아본다
영월 선바위산을 엉뚱한 곳으로 표기하고 있다
해발 1038.1m 봉오리가 선바위산이고
1151.1m 봉오리가 순경산임
[ 산 행 기 ]
어느덧 다녀온지 13년이 지난 영월 선바위산
선바위산은 강원도 영월외 정선에도 있으며
경북 영양군, 충남 공주시, 경남 산청시에도 있다
하지만 엄청난 바위가 있는 곳은
영월 선바위산이 유일하다
09:10
봉우재삼거리에서 바라본 순경산 1150.6m 및 1151.1m 봉오리
순경산은 1151.1m 봉오리임
바로 앞에 등산안내도 및 선바위산 표식이 보인다
최근 Daum지도에서 촬영한
봉우재 삼거리에서 바라본 선바위산 및 순경산 방
09:11
선바위산 등산안내도
영월 선바위산 네이버 블로그 (naver.com)에서 인용한 지도
현재 있는 봉우재삼거리 주변 등산안내도에
설명을 덧씌워 표기한 것입니다.
09:11
봉우교 앞에서 바라본 선바위산
소원바위가 산 이름의 유래이지만
암봉의 자태만 봐도 왜 이곳이 선바위산인지 알 수 있다
09:18
봉우교 지나서 뒤돌아본 봉우재 삼거리 방향
그냥 평지로 보이는 이곳이 왜 봉우재일까요?
여기는 해발 450m 부근입니다.
09:22
선바위산 들머리 / 막골 방향 진입부
▼
▼
▼
하지만 현재 이곳에는 이정표가 없어졌다
지금은 이곳이 들머리가 아님
▼
▼
▼
조금더 올라가면
주차장이 조성된 들머리가 보인다
예전의 위치에서 조금 더 올라와서 들머리가 보인다
이곳에 주차장용 공터가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앞에 이정표도 보인다
09:41
샘터
막골 계곡물의 일부로 보인다
뒤돌아본 샘터 방향 전경
당시만 해도 신비로웠던 금낭화
09:44
신기해서 촬영한 더위를 식히고 있는 새 한마리
10:02
막골에 보이는 작은 폭포지대
10:04
계속해서 보이는 작은 폭포지대
10:06
여기부터 낙차가 큰 폭포들이 연달이 드러난다
3단폭포로 보인다
10:08
이곳은 3단 또는 4단으로 보이는 폭포
10:10
이곳은 2단으로 보이는 폭포면서 쌍폭포
10:11
이곳은 5단 또는 6단으로 보이는 폭포
10:15
이곳은 등산지도에 10m 폭포로 표기되는 곳
10m폭포 앞에서
10:19
5m폭포
10:23
5m폭포 앞에서
줄기를 자르면 피가 나는 것처럼 붉은 물이 나오는
피나물
10:27
막골 계곡길 마지막 지점
이곳을 막골 쉼터라고 한다
하산방향 1.95km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막골이 꽤 깊은 계곡으로 보인다
10:40
능선길로 올라가면서 보이는 모습
소나무들이 울창하게 자생하고 있다
10:44
이곳에서 소리를 질러보니
메아리가 바로 반사되어 되돌아 오더군요
11:00
바위조망터에서 바라본 순경산
북쪽(좌) 봉오리가 1,150.6m / 남쪽(우) 봉오리가 1,151.1m
당시는 저곳을 연계하여 산행할 생각도 못했지요
>> 이곳은
해발 950m 주변에 보이는 암릉지대에 있는 조망바위로 보인다
바위 조망터에서 바라본 백두대간 구룡산 방향
바위조망터에서 바라본 선달산 방향
11:02
무덤에 자라고 있는 물박달나무
11:07
선바위산 꼭대기에 도달하여 바라본 순경산
선바위산 꼭대기에서 바라본 구룡산 및 삼동산 방향
여기서 보니 옥석산 옥석봉이 제대로 보인
선바위산 산정에서 바라본 옥석산 및 선달산 방향
선바위산에서 내려다본 올라온 막골
11:08
선바위산 꼭대기 모습
선바위산 표지석
반석 김종익은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다.
선바위산 꼭대기 해발 고도는 1,038.1m
1042m는 어떠한 근거도 없는 고도 표기임
11:11
선바위산 꼭대기에서 인증샷 남긴다
선바위산에서 바라본 매봉산 방향
하지만 매봉산은 바로 앞 가매봉(1202.1m)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선바위산에서 가매봉을 배경으로 셀카
선바위산에서 선달산 및 쇠이봉 방향
형제봉은 소백산국립공원 내 형제봉을 말한다
11:14
선바위산 꼭대기를 알려주는 또다른 표식
정상이라는 표현은 일제식 표현임
바우라는 표현은 바위의 방언이라 함
순순 한국말이 바우임
11:21
소원바위 방향 갈림길
내려가는곳이 어느쪽인지??
11:28
접근이 어려워 이렇게만 담아본 기암석
11:45
반쟁이골 방향 분기점
소원바위는 여기서 반쟁이골 방향으로 내려가야 볼 수 있다
11:48
소원바위
바로 이 선바위가 선바위산의 유래가 된다
11:50~11:54
선바위를 배경으로 기념샷 남긴다
11:55
내려가면서 측면에서 바라본 소원바위
11:57
작은 보살 및 소원바위 안내문
소원바위 안내문 주변에서 내려다보니
여러 선바위가 보인다
아슬아슬 낙석위험이 있는 바위도 보인다
12:01~12:02
내려가면서 바라본 소원바위
소원바위를 따라 선바위들이 이어져 있어
1,2,3봉으로 애칭을 붙여본다
하지만 보이는 선바위는 반대편에 있어
딱히 O봉으로 칭하기 어렵다
선바위 3봉 및 소원바위
선바위 1봉 및 2봉
이렇게 보면
선바위 1봉부터 3봉 및 4봉 소원바위를 한방에 담을 수 있다
12:16
겨대한 바위 밑에 또다른 불상이 보인다
개덕다리겨울우산버섯
식용이라고 하며 굳어지면 말렸다 차로 드신다고 합니다.
12:22
반쟁이골 약수공원에 도달
철교를 건너면 좌측으로 보이는 곳이 약수공원임
12:35
철교에서 바라본 반쟁이골 모습
12:37
반쟁이골 공원에 있는 이정표 및 등산안내도
12:40
약수공원 전경
▼
▼
▼
Daum지도를 인용하여 현재의 약수공원 현황 알아본다
2021년 Daum지도에서 촬영한 약수공원 전경입니다.
이정표 및 등산안내도가 보입니다
철교 및 약수공원 전경
철교를 건너면 바로 약수공원임을 알 수 있다.
12:47
약수공원을 지나서 다시 담아본 반쟁이골
12:50
수피움 힐링센터 바로 직전에 바라본 선바위산
선바위산은 좌측 뾰족한 봉오리가 아니고
중앙에 펑퍼짐해 보이는 곳임
이쯤에서 당시에 없었던
수피움 힐링센터에 대하여 알아보자
자세한 사항은 링크하면 알 수 있다
당시에는 없었던 수피움 힐링센터 전경입니다.
12:52
다시 바라본 선바위산 방향 전경
마치 봉화 청량산을 닮은 모습
13:01
막골 들머리에서 바라본 선바위산
>> 현재는 이곳이 들머리가 아님
13:04
봉우교에서 바라본 옥동천
좌측에 보이는 곳은 봉현마을
마지막으로 봉우교를 건너서 선바위산을 바라보며
산행기를 마감합니다.
'산행(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산 일출 (1) | 2023.08.24 |
---|---|
원주 선바위봉 (0) | 2023.08.04 |
홍천 석화산 (0) | 2023.07.19 |
단양 석화봉 수리봉 선미봉(수학봉) (0) | 2023.07.17 |
석모도 상봉산 낙가산 해명산 (2) | 2023.07.17 |